PER, PBR 초보자도 쉽게 이해하기
주식 고수들이 “이 종목 PER 몇 배야?”, “PBR이 낮네” 이런 말 자주 하잖아요? 근데 초보 입장에서는 이게 무슨 암호처럼 들릴 수 있습니다. 사실 PER, PBR은 기업이 비싼지 싼지 가늠하는 간단한 잣대예요. 마트에서 물건 가격표 보는 것과 비슷하다고 생각하면 편합니다.
PER (주가수익비율) 쉽게 풀이
공식 : 주가 ÷ 주당순이익(EPS)
뜻 : 회사가 1년 벌어들이는 이익의 몇 배 가격에 주식을 사고 있는가?
예시 : 주가 10,000원, EPS 1,000원 → PER = 10배 (10년 벌어야 본전)
• PER이 높다 → 미래 성장성에 대한 기대가 큼 (성장주)
• PER이 낮다 → 과소평가이거나, 성장성이 둔화된 기업일 수 있음 (가치주)
PBR (주가순자산비율) 쉽게 풀이
공식 : 주가 ÷ 주당순자산(BPS)
뜻 : 회사 자산 대비 주가가 몇 배인지
예시 : 주가 5,000원, BPS 10,000원 → PBR = 0.5배 (반값에 살 수 있다는 의미)
• PBR이 1 미만 → 자산가치보다 저평가
• PBR이 높다 → 미래 수익성에 대한 기대 반영
PER vs PBR 한눈에 정리
• PER은 “이익” 기준, PBR은 “자산” 기준
• 두 지표를 함께 보면서 “싼데 이익도 잘 나는지” 확인하는 게 핵심
초보 투자자에게 드리는 팁
1. 같은 업종끼리 비교해야 의미가 있습니다.
2. 무조건 낮다고 좋은 건 아님 (성장성 확인 필요).
3. 지표만 보지 말고 업황과 미래 전망도 같이 보세요.
마무리
PER과 PBR은 복잡한 금융용어가 아니라 결국 가격표와 가치표시입니다. 마트에서 과자 살 때 “이거 1,000원인데 양은 얼마지?” 따져보듯, 주식 투자에서도 “내가 지금 비싼 값에 사는 건지, 저렴하게 사는 건지” 판단하는 기준이 되는 거죠.
뉴스에서 “OO기업 PER 30배” 같은 말이 나와도 이제는 “아, 이 회사는 시장에서 비싸게 거래되는구나” 하고 감이 잡히실 거예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