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6년 주목해야 할 에너지 고속도로 관련주 Top7 | 대장주·테마주·관련주
에너지 고속도로 관련주 TOP7
최근 정부가 추진하는 '에너지 고속도로' 정책은 신재생에너지 발전과 전력망 효율화의 핵심 인프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이는 발전소에서 생산된 전기를 필요한 곳까지 안정적으로 전송하는 대규모 전력망 구축 사업으로, 관련 기술과 제품을 보유한 기업들이 수혜주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에너지 고속도로'와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기업 7곳을 소개해 드립니다.
2차전지관련주 TOP7 |
1. LS ELECTRIC
시가총액
약 3.8조 원 (2025년 9월 기준)
주요 사업 분야
전력기기, 자동화 솔루션, 스마트그리드 등
재무 지표
구분 | 수치 (2025년 2분기) |
---|---|
매출액 | 9,000억 원 |
영업이익 | 950억 원 |
부채비율 | 약 150% |
유보율 | 약 800% (2025년 9월 기준) |
투자 지표 (2025년 9월 기준)
- PER: 약 20배
- PBR: 약 2.5배
기대 포인트
에너지고속도로의 핵심인 초고압 직류 송전(HVDC) 기술을 보유하고 있으며, 미국 내 전력 인프라 투자 확대에 따른 수혜가 기대됩니다.
최근 이슈
미국, 유럽 등 선진국 시장에서 전력 인프라 사업 수주를 확대하며 글로벌 시장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2. HD현대일렉트릭
시가총액
약 4.5조 원 (2025년 9월 기준)
주요 사업 분야
변압기, 차단기, 전력 기자재 등
재무 지표
구분 | 수치 (2025년 2분기) |
---|---|
매출액 | 6,500억 원 |
영업이익 | 800억 원 |
부채비율 | 약 120% |
유보율 | 약 750% (2025년 9월 기준) |
투자 지표 (2025년 9월 기준)
- PER: 약 18배
- PBR: 약 2.0배
기대 포인트
전력 인프라 투자 확대에 따른 전력기기 수요 증가로 실적 성장이 예상됩니다. 특히, HVDC용 차단기 개발 등 신기술 투자에 적극적입니다.
최근 이슈
중동 및 미주 지역에서 대규모 변압기 수주 계약을 연이어 체결하며 해외 시장에서의 입지를 굳히고 있습니다.
3. 대한전선
시가총액
약 1.5조 원 (2025년 9월 기준)
주요 사업 분야
초고압 전력선, 해저 케이블, 통신 케이블 등
재무 지표
구분 | 수치 (2025년 2분기) |
---|---|
매출액 | 9,200억 원 |
영업이익 | 250억 원 |
부채비율 | 약 200% |
유보율 | 약 600% (2025년 9월 기준) |
투자 지표 (2025년 9월 기준)
- PER: 약 30배
- PBR: 약 0.8배
기대 포인트
해상풍력발전과 연계된 해저 케이블 수요 증가로 에너지고속도로 사업의 직접적인 수혜가 예상됩니다.
최근 이슈
해상풍력발전 프로젝트에 필요한 해저 케이블 공급 계약을 수주하며 신재생에너지 관련 사업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4. LS마린솔루션
시가총액
약 4,000억 원 (2025년 9월 기준)
주요 사업 분야
해저 케이블 시공, 유지보수 등
재무 지표
구분 | 수치 (2025년 2분기) |
---|---|
매출액 | 450억 원 |
영업이익 | 50억 원 |
부채비율 | 약 50% |
유보율 | 약 350% (2025년 9월 기준) |
투자 지표 (2025년 9월 기준)
- PER: 약 25배
- PBR: 약 1.5배
기대 포인트
해상풍력발전 및 해저 송전망 구축에 필수적인 해저 케이블 설치와 유지보수 기술을 보유하고 있어, 에너지고속도로 사업 확대 시 수혜가 기대됩니다.
최근 이슈
해저 케이블 설치 전용 선박 확보 및 신규 해상풍력발전 프로젝트 참여를 통해 사업 역량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5. 대원전선
시가총액
약 1,500억 원 (2025년 9월 기준)
주요 사업 분야
전력선, 전선, 케이블 등
재무 지표
구분 | 수치 (2025년 2분기) |
---|---|
매출액 | 1,800억 원 |
영업이익 | 50억 원 |
부채비율 | 약 180% |
유보율 | 약 500% (2025년 9월 기준) |
투자 지표 (2025년 9월 기준)
- PER: 약 22배
- PBR: 약 0.7배
기대 포인트
전력 인프라 구축 및 스마트그리드 사업 확대에 따른 전선 수요 증가로 꾸준한 성장이 예상됩니다.
최근 이슈
구리 가격 상승과 전력선 교체 수요 증가로 실적 개선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6. 세명전기
시가총액
약 1,000억 원 (2025년 9월 기준)
주요 사업 분야
전선 지지물, 전력선 기자재 등
재무 지표
구분 | 수치 (2025년 2분기) |
---|---|
매출액 | 350억 원 |
영업이익 | 20억 원 |
부채비율 | 약 100% |
유보율 | 약 400% (2025년 9월 기준) |
투자 지표 (2025년 9월 기준)
- PER: 약 15배
- PBR: 약 0.6배
기대 포인트
전력망 확충 사업에 필요한 기초 기자재를 공급하며, 에너지고속도로 사업의 필수적인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최근 이슈
신재생에너지 연계 전력망 구축 사업에 참여하며 관련 매출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7. 그리드위즈
시가총액
약 6,000억 원 (2025년 9월 기준)
주요 사업 분야
에너지 관리 시스템, 에너지저장장치(ESS) 등
재무 지표
구분 | 수치 (2025년 2분기) |
---|---|
매출액 | 220억 원 |
영업이익 | -50억 원 |
부채비율 | 약 120% |
유보율 | 약 250% (2025년 9월 기준) |
투자 지표 (2025년 9월 기준)
- PER: 해당 없음
- PBR: 약 3.0배
기대 포인트
에너지 고속도로를 통해 전송된 전력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데 필요한 에너지저장장치(ESS) 및 에너지 관리 시스템 기술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AI 기반의 전력 효율화 기술도 관련 수혜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최근 이슈
국내외 ESS 사업 수주를 확대하며 기술력을 인정받고 있으며, 스마트그리드 관련 정부 정책 수혜가 기대됩니다.
전략망 관련주 TOP5 |
마무리
지금까지 에너지 고속도로 관련주 7가지에 대해 살펴보았습니다. 이러한 기업들은 국가 전력망 효율화 및 재생에너지 확대 정책과 맞물려 지속적인 성장이 기대되는 분야입니다. 각 기업의 사업 내용과 재무 상태를 면밀히 분석하여 신중한 투자를 결정하시길 바랍니다.
주의사항: 본 포스팅은 개인적인 공부와 자료 정리를 위해 작성되었으며, 특정 종목에 대한 투자 권유가 아닙니다. 투자 결정에 대한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