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6년 주목할 CXL 관련주 TOP7 | AI·데이터센터 핵심 테마 정리
CPU·GPU와 메모리를 더 빠르고 효율적으로 연결하는 기술이라, AI와 데이터센터 시대에 필수로 꼽히죠.
삼성전자와 하이닉스 같은 대장주부터 검사장비, 기판, IP 설계 기업까지 — 관련주들이 다양하게 포진해 있습니다.
오늘은 그중에서도 주목할 만한 CXL 관련주 TOP7을 시총·재무·최근 이슈까지 싹 정리해드리겠습니다.
1. 삼성전자
시가총액
약 478조 원 (2025년 9월 기준)
주력 사업 분야
세계 메모리 시장 1위. D램·낸드·HBM에서 글로벌 기준을 주도합니다. 최근에는 CXL 메모리로 CPU·GPU 연결 효율을 높이며 AI 서버 성능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재무 지표
구분 | 수치 |
---|---|
매출액 (2024) | 약 300조 원 |
영업이익 (2024) | 약 33조 원 |
부채비율 | 약 29% |
자본유보율 | 약 1,200%+ |
투자 지표 (2025.9 기준)
- PER: 약 16배
- PBR: 약 2배
기대 포인트
삼성전자는 글로벌 메모리 시장 1위 기업으로, CXL 메모리 상용화를 가장 빠르게 추진하고 있습니다.
특히 HBM·DDR5와 함께 CXL 메모리를 결합해, AI 서버와 데이터센터 성능 극대화라는 미래 전략을 이끌고 있습니다.
또한 막대한 자본력과 R&D 투자를 바탕으로 시장 표준화 과정에서 주도권을 쥘 가능성이 높으며, 반도체 경기 사이클과 무관하게 장기적 성장 모멘텀을 확보할 수 있는 기업입니다.
최근 이슈
삼성과 하이닉스가 CXL D램 호환성 테스트를 완료하며, 차세대 메모리 상용화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2. SK하이닉스
시가총액
약 221조 원 (2025년 9월 기준)
주력 사업 분야
HBM 강자로, AI 연산 최적화된 HBM+CXL 조합을 선도합니다. NVIDIA·AMD에 공급하며 CXL 메모리에서도 강력한 경쟁력을 보유.
재무 지표
구분 | 수치 |
---|---|
매출액 (2024) | 약 66조 원 |
영업이익 (2024) | 약 23조 원 |
부채비율 | 약 40% |
자본유보율 | 약 1,000%+ |
투자 지표
- PER: 약 10배
- PBR: 약 2.5배
기대 포인트
HBM 수요 폭발과 CXL 메모리 결합으로 가장 직접적인 수혜가 기대됩니다.
특히 NVIDIA·AMD 등 글로벌 고객사와의 협업 확대는 안정적인 매출 기반을 보장하며, 차세대 서버 아키텍처에서 삼성전자와 양강 구도를 형성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또한, 중국·미국 데이터센터 투자 확대와 맞물려 CXL 표준화 과정에서 핵심 플레이어로 자리 잡을 전망입니다.
최근 이슈
CXL 메모리 양산 돌입 소식이 전해지며 시장에서 강세 흐름을 보였습니다.
3. 티엘비 (TLB)
시가총액
약 3,200억 원 (2025년 9월 기준)
주력 사업 분야
DDR5·CXL 검사 솔루션 공급. 반도체 업황 회복 시 필수 장비로 실적 반등 기대.
재무 지표
구분 | 수치 |
---|---|
매출액 (2024) | 약 1,800억 원 |
영업이익 (2024) | 약 33억 원 |
부채비율 | 약 76% |
자본유보율 | 약 2251% |
투자 지표
- PER: 약 30배
- PBR: 약 3배
기대 포인트
티엘비는 DDR5와 CXL 기반 반도체 전환기에 검사·테스트 보드라는 필수 장비를 공급하는 기업입니다.
반도체 업계 특성상 신제품 도입 시 검증 공정이 반드시 필요하기 때문에, 시장 확대와 함께 안정적 수요가 보장됩니다.
특히 AI 서버 및 고성능 컴퓨팅(HPC) 확산으로 고사양 테스트 보드의 수요 증가가 예상되며, 업황 회복 시 빠른 실적 반등이 가능한 구조를 갖추고 있습니다.
최근 이슈
특별한 개별 이슈는 없으나, CXL 검사 장비 수요 확대 기대감이 꾸준히 언급되고 있습니다.
4. 네오셈
시가총액
약 3,400억 원 (2025년 9월 기준)
주력 사업 분야
세계 최초 CXL D램 검사장비 상용화 기업. 서버 메모리 확대 시 수혜 직결.
재무 지표
구분 | 수치 |
---|---|
매출액 (2024) | 약 1,100억 원 |
영업이익 (2024) | 약 164억 원 |
부채비율 | 약 22.4% |
자본유보율 | 약 2,603% |
투자 지표
- PER: 적자
- PBR: 약 2.5배
기대 포인트
세계 최초로 CXL D램 검사장비를 상용화한 기업으로, 시장 내에서 독보적인 기술 우위를 확보하고 있습니다.
서버와 데이터센터 메모리 수요가 늘어날수록 검사 공정의 중요성이 커지기 때문에, 네오셈 장비의 채택률 상승 가능성이 높습니다.
아직 실적은 적자이지만, 기술 선점 효과와 글로벌 고객사 진입 가능성 덕분에 중장기적 성장 잠재력이 크다는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최근 이슈
개별 뉴스는 없지만, 국내 유일 CXL 검사장비 업체로 시장에서 꾸준히 부각.
5. 코리아써키트
시가총액
약 3,800억 원 (2025년 9월 기준)
주력 사업 분야
DDR5·HBM·CXL PCB 공급 기업. AI 반도체 패키징 핵심 수혜주.
재무 지표
구분 | 수치 |
---|---|
매출액 (2024) | 약 7천억 원 |
영업이익 (2024) | 약 -332억 원 |
부채비율 | 약 81% |
자본유보율 | 약 2,400% |
투자 지표
- PER: N/A
- PBR: 약 0.6~1.3배
기대 포인트
차세대 반도체 기판 시장 확대의 직접적인 수혜주입니다.
특히 DDR5와 HBM 패키징 공정에서 CXL을 지원하는 고다층 PCB 공급 역량이 강화되고 있어, 글로벌 반도체 고객사와의 협업 기회가 늘어나고 있습니다.
또한 AI 서버·클라우드 데이터센터 투자가 본격화되면서, 안정적 실적 + 성장성을 동시에 갖춘 기업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최근 이슈
특별한 최근 뉴스는 없지만, CXL·HBM 기판 수요 증가와 함께 수혜 기대감이 유지되고 있습니다.
6. 엑시콘
시가총액
약 1,500억 원 (2025년 9월 기준)
주력 사업 분야
CXL 1.1·2.0 테스터 개발 중. 차세대 인터페이스 검사 솔루션 확보.
재무 지표
구분 | 수치 |
---|---|
매출액 (2024) | 약 316억 원 |
영업이익 (2024) | 약 30억 원 |
부채비율 | 약 7.9% |
자본유보율 | 약 2,698% |
투자 지표
- PER: 약 13배
- PBR: 약 1.2배
기대 포인트
엑시콘은 국내에서 드물게 CXL 1.1·2.0 전용 테스터를 개발하는 기업으로, 차세대 반도체 검사 장비 분야에서 차별화된 입지를 갖고 있습니다.
CXL은 아직 초기 확산 단계이지만, 관련 인프라가 늘어날수록 전용 검사 장비의 필요성은 커질 수밖에 없습니다.
따라서 엑시콘은 규모는 작지만, 기술 희소성과 시장 성장 초기 단계에서의 선점 효과로 주목받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최근 이슈
독자적 CXL 테스터 기술 개발 이슈가 간헐적으로 부각되며 투자자 관심을 끌고 있습니다.
7. 퀄리타스반도체
시가총액
약 1,900억 원 (2025년 9월 기준)
주력 사업 분야
PCIe 6.0 PHY IP 및 CXL 호환 IP 보유. 서버·클라우드용 반도체 설계 핵심 파트너.
재무 지표
구분 | 수치 |
---|---|
매출액 (2024) | 약 61억 원 |
영업이익 (2024) | -227억 원 |
부채비율 | 약 26.4% |
자본유보율 | 약 556–627% |
투자 지표
- PER: 적자
- PBR: 약 3.1배
기대 포인트
퀄리타스반도체는 PCIe 6.0 PHY IP와 CXL 호환 IP를 확보한, 국내 대표 반도체 IP 설계 기업입니다.
비록 매출 규모는 작지만, 고부가가치 IP 비즈니스 모델 덕분에 글로벌 반도체 기업과 협업 가능성이 크다는 점이 강점입니다.
또한 글로벌 CXL 컨소시엄 회원사로 활동하며 기술력을 공식적으로 인정받고 있어, 향후 AI·클라우드용 반도체 아키텍처 확대에 따라 IP 라이선스 수익 확대가 기대됩니다.
최근 이슈
최근 개별 뉴스는 없으나, IP 보유 기술력을 기반으로 꾸준히 CXL 테마주로 언급됩니다.
마무리
CXL은 아직 초기 단계지만, 이미 글로벌 반도체 시장의 핵심 키워드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삼성전자·SK하이닉스 같은 대장주부터 네오셈·퀄리타스 같은 기술 특화 기업까지, 각자 다른 무기를 들고 이 신대륙을 향해 나아가고 있죠.
다만 관련 종목들은 변동성이 크니 단순 테마가 아닌 재무·기술·시장성을 함께 살펴보는 시각이 필요합니다.
앞으로도 주요 테마와 종목들을 꾸준히 정리해드릴 테니, 관심 있으신 분들은 함께 따라와 주세요
단, 저도 소액으로 주가가 솟아오르기전에만 신중하게 접근합니다 무리하지 마시고 재미로 보시거나 소액으로 차분히 접근하시거나 재미로만 보시기 바랍니다!
※ 본 글은 개인적 정리이며 투자 권유가 아닙니다. 수치·지표는 2025년 9월 기준 작성 시점 정보로, 실제 공시/시세와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